책 소개
지난 50여 년, 우리는 재난 대응에서
한 발짝이라도 나아갔는가?
찹쌀떡, 복어, 생선가시, 땅콩, 기생충, 미세먼지
전기장판, 예초기, 콘센트, 엘리베이터, 회전문, 전기차, 전동 킥보드
어린이 성폭력, 칼부림 난동, 여성 폭행, 압사 사고
팬데믹, 극한호우, 해파리, 산불, 지진, 쓰나미, 핵공격……
일상 도처에 도사리고 있는,
혹은 다시는 오지 말아야 하지만 늘 닥쳐오는
크고 작은 위험들이다
소방 인력, 내진 설계, 건축법 적용, 식품 안전
위기 대책 소관 부서, 권역외상센터……
여전히 우리가 대비하지 못하고 있는 것들이다
1972년 대연각 호텔 화재_사망 163명
1994년 성수대교 붕괴_사망 32명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_사망 502명
1999년 씨랜드 화재_사망 23명
2014년 세월호 침몰_사망 304명
2017년 청주 홍수 피해, 살충제 달걀 파동, 포항 지진,
영흥도 앞바다 낚시 어선 전복,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여기서 끝이 아니었다.
다시는 겪고 싶지 않은 많은 재난을 또 마주할 수밖에 없었다.
2023년 오송 지하차도 침수_사망 14명
이태원 압사_사망 159명
더 심해진 일상의 재난과 제자리걸음인 대책, 개정증보판을 낼 수밖에 없었던 이유다
도서출판 따비에서 2018년 1월에 출간한 《거의 모든 재난에서 살아남는 법》은 2011년에 나온 《거의 모든 재난으로부터 살아남는 법》(웅진리빙하우스 펴냄)을, 7년 사이 급변한 시대 상황에 맞춰 전면 수정, 보완한 것이었다.
그런데 다시 거의 7년이 지난 2024년 11월, 저자와 출판사는 다시 또 개정증보판을 낼 수밖에 없다. 2018년 출간의 중심에 세월호 참사가 있었다면, 2024년 개정증보판의 중심엔 이태원 참사, 오송 지하차도 참사가 있었다. 무엇보다 지난 몇 년 동안 대응은 한 걸음도 더 나아가지 못했거나 후퇴했고, 책임을 지고 원인을 규명하는 일은 전무하다시피 했다.
극한호우, 코로나19, 외래종의 공습이라는 새로운 재난을 맞닥뜨렸고, 부실공사와 여성 안전, 칼부림 난동 등은 더 심각해지고 있으며, 전기차와 전동킥보드처럼 일상에 새로운 위험도 등장했다.
하지만 바뀌지 않는 현실 앞에서 포기하고 있을 수만은 없다. 재난의 원인과 양상, 대처에 관해 좀 더 꼼꼼하게 살펴봐야 한다. 또한, 더 나은 사회를 위해 입법 청원을 하자고 했던 2018년의 제안에 더해, 적극적으로 민원을 제기하는 방법을 실었다.
더는 개정증보판을 내야만 하는 상황이 오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여전히 우리는 재난을 잘 알지 못하고,
재난에 대처하는 법은 제 기능을 하지 못한다
“구명조끼를 학생들은 입었다고 하던데 그렇게 발견하기가 힘듭니까?”
박근혜 전 대통령의 한마디가 재난 대응의 현재 우리 수준은 아닐까?
놀랍게도 꽤 많은 사람이 아직도 말한다. 세월호 침몰은 교통사고 아니었냐고. 교통사고가 맞다고 치자. 하지만 명백한 징후가 있는 교통사고였고, 무엇보다 사고를 수습하는 과정은 재앙이었다. 참사가 일어나고 미스테리의 7시간이 지난 뒤 90분간 올림머리를 하고 오후 5시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찾은 박근혜 전 대통령의 저 첫마디는 우리의 재난 대응 수준을 그대로 보여 준다. 또한, 보고 체계에 구난 전문가가 하나도 없었으며, 구난 전문가에게 확인이라도 해 본 사람마저 없었다.
일상 속에 도사린 위험, 실질적인 대응 방법은 무엇인가?
일단, 재난에 대비하려면 가장 먼저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국가의 재난 대응 시스템은 사회적 자원을 쓰는 것인 만큼, 그 자원 배분의 우선순위는 사람마다 입장이 다를 수밖에 없다. 그래서 시간이 걸린다. 일상의 사고도 마찬가지다. 구급차가 도착하는 몇 분 동안 어떤 조치를 하느냐에 따라 생사는 쉽게 갈릴 수 있다. 이 책은 그 틈을 해결하고자 쓴 책이다. 재난 상황에 빠진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헌신하는 이들을 믿지만, 그 사람들이 도착하기 전까지 무엇을 해야 하는지, 그래서 어떻게 준비를 해야 하는지, 그 기초부터 시작해서 세세하게 하나씩 알아보는 일이 생존의 첫걸음이다.
〈재난 대비 워밍업〉은 ‘구급상자 꾸리기’ ‘생존배낭’ ‘재난 대비 훈련’ ‘119 신고’ ‘응급처치 세 가지’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재난 대응’ 등을, 〈부록〉은 ‘재난 시 필수 연락처’ ‘안전 체험관’ ‘재난 대응 핵샘 체크’ ‘재난 대비 물품’ 등을 정리했다.
이처럼 구체적, 실질적 워밍업으로 시작해, 거대한 재난에 대한 말뿐인 질책, 두루뭉술한 시스템 개선책이 아니라, 우리 일상 도처에서 맞닥뜨릴 수 있는 위험, 어린이 안전 문제, 여행 시 필수 안전 준비물 등 세세하고 구체적인 예방과 대처법을 소개한다.
〈1장 일상〉에서는 찹쌀떡, 떡볶이, 생선 가시, 옻 등 ‘먹거리’, 전기장판, 유리컵, 식용유, 콘센트 등 ‘일상생활’ 용품, 가스, 엘리베이터, 회전문 등 ‘집과 건물’, 터널, 남성 승객 등 ‘차량’ 관련하여
〈2장 어린이〉에서는 동상, 코피, 화학약품, 충돌 사고, 놀이공원, 성폭력 등 아이들 관련하여
〈3장 여행〉에서는 계곡 급류, 이안류, 바다낚시, 뙤약볕, 산길 조난, 낙뢰, 폭설, 선박 침몰, 비행기 추락, 예방접종, 여행자 보험, 대한민국 대사관 등 국내ㆍ국외 여행 관련하여
각종 위험과 대비책, 응급 대처법을 최대한 꼼꼼하게 다룬다.
영화 같은 재난은 지금도, 앞으로도 현실이다
쓰나미, 산사태, 총격전, 화생방, 인질극은 과연 ‘영화 속 재난’으로만 치부할 수 있는 재난일까? 바다낚시 사고, 지진, 각종 전염병, 선박 침몰, 찜질방과 고층 건물 화재는 ‘설마 이런 일이 우리한테도 일어날까?’ ‘걱정거리도 많은데 뭐 이런 것까지 준비해야 하나?’라면서 무시할 수 있는 일일까?
아니다. 이 참사들은 대부분 21세기 들어 대한민국에서 직접 겪은 일들이다. 즉, 나와 혹은 가족, 친적, 친구, 동료 가운데 한두 명쯤은 겪었을 실제 비극이다.
더불어 이 책은 지진이나 건물 붕괴, 지하철의 남성 승객과 아동 대상 성범죄, 선박 침몰, 태풍과 전염병 등의 대처법을 위험 관리라는 틀을 통해 접근한다.
재난을 대처하는 정치, 그리고 시민과 청원
‘재난과 정치’는 저자가 진심으로 전하고픈 호소이자 큰 그림이다. 결국 재난은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것이다. 시민의 힘으로 정부를 움직이지 못하면 사회 전체의 안전 수준을 끌어올릴 수 없다. 재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사회가 무엇을 대비하지 않았기 때문에 어떤 자연 재해가 재난이 되었는지, 이 재난을 어떻게 극복해 다음에는 같은 재해에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지다.
제천 스포츠센터 사고가 나자 언론이, 몇몇 정치인이 소방법과 소방 인력 확충에 대해 이야기했지만, 이와 비슷한 상황은 매년 되풀이되고 있다. 세월호 침몰 참사를 겪은 지 몇 년도 되지 않았는데 2017년 말 몇 차례의 선박 전복 사고를 겪었고, 타워 크레인 사고와 지하철 사고, 현장 실습 사고는 마치 시간이 반복되는 타임루프 영화처럼 현실에서도 계속되고 있다.
“사회적인 문제의 해결 과정은 ‘어쩔 수 없이 감수해야 할 위협’으로 생각하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하는 데서부터 출발한다. 이 주제들에 대한 해결 방안들이 나오기 시작하면 그만큼 궤변도 많이 나올 것이다. 사회적 안전을 유예하는 방향으로 말이다. 이는 역으로, 대중이 안전하지 않은 상태에 있어야 이익을 취할 수 있었던 것이 누구인지 드러낼 것이다. 결국 그들을 어떻게 할 것인지가 한국 사회가 더 안전해질 것인가 아니냐를 결정지을 것이다.”(389쪽)
결국 저자는 시민의 힘이, 정치가 결국 이 재난을 근본적으로 대처하는 법이라고 역설한다. 그리고 실제적으로 청원을 통해서 문제를 밑바닥에서부터 하나씩 하나씩 고쳐 나갈 수 있다고 강조한다. 더불어 이번 개정증보판에서는 적극적으로 민원을 제기하는 구체적인 방법도 소개한다.
작가 소개
지은이 : 성상원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났고 한림대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했다. 스페인과 멕시코에서 컸고 한동안 베트남, 인도, 네팔, 스리랑카, 방글라데시를 중심으로 30여 개국을 누볐다. 그 경험을 바탕으로 1999년부터 《딴지일보》에 국제분쟁, 사회갈등, 재난 등에 대한 기사들을 썼다. 특히 2008년부터 2015년까진 남아시아에서도 인프라 없는 지역에서 일했고, 그 경험이 이 책의 바탕이 되었다. 2015년까지 네팔에서 있었는데 대지진 이후 귀국했고, 지금은 딸바보인 형틀목수다. 번역서로 《WAR : 아프간 참전 미군 병사들의 리얼 스토리》가 있다.
지은이 : 전명윤
일명 환타. 각 지역별 환타로도 불린다. 홍콩을 이야기할 때는 ‘홍콩환타’, 오키나와를 이야기할 때는 ‘오키나와환타’라고 하는 식. 환타는 幻打, 환상을 깬다는 뜻이다. 1996년 인도 여행을 시작으로 여행의 세계에 푹 빠졌다. 수많은 나라를 여행하며 특유의 입담과 삐딱한 시선으로 ‘딴지일보’ 인도 특파원을 했고, 《시사저널》 《세계일보》 《시사인》 등에 여행, 문화, 국제분쟁 등 다양한 주제의 글을 썼고 한겨레에서 기명 칼럼을 쓰기도 했다. EBS 〈세계테마기행〉 스리랑카 편에 출연했으며, 각종 방송과 팟캐스트에서 맹활약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프렌즈 홍콩·마카오》 《프렌즈 베이징》 《프렌즈 인도·네팔》 《프렌즈 오키나와》, 《상하이 100배 즐기기》 등의 여행서와 에세이 《생각으로 인도하는 질문 여행》, 홍콩 민주화운동 르포 《리멤버 홍콩》도 있다. 한마디로 정체불명.
목 차
추천사 4
개정증보판을 내며 7
책을 내며 15
들어가는 말 24
0. 재난 대비 워밍업
재난에서 살아남으려면 체력이 우선이다 42 | 구급상자 꾸리기 46 |
생존배낭 49 | 재난 대비 훈련 54 | 119 신고법 56 | 응급처치 세 가지 58 |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재난 대응 61
1. 일상
일상 도처 재난이다 60
- 먹거리
찹쌀떡 73 | 떡볶이와 장난감 75 | 복어 78 | 옻 80 | 생선 가시 82 | 땅콩 84
방사능 식품 안전 88
- 일상생활
전기장판 91 | 유리컵 93 | 예초기 96 | 식용유, 햇볕, 화학약품 99 |
과호홉 102 | 개 105 | 빙판길 108 | 기생충 110 | 콘센트 114 |
모래와 축구공 116 | 황사와 미세먼지 118 | 외래종의 공습 122
위험한 관상식물 128
- 집과 건물
가스 133 | 엘리베이터 136 | 회전문 139 | 에스컬레이터 142 |
건물 붕괴 145 | 부실공사 현장 150
전기 화재 예방법 156
- 차량 및 대중교통
터널 159 | 호수, 해안, 강변 161 | 남성 승객 164
자동차 안전 용품 리스트 168
안전한 자전거 타기를 위한 체크리스트 172 | 전동 킥보드 176
2. 어린이
아이들이 위험하다! 184
입술과 혀 190 | 치아 192 | 동상 195 | 코피 197 | 표백제 200
놀이공원 202 | 어린이 성폭력 206
내 아이에게 안전한 집 만들기 209
3. 여행
즐거운 만큼 안전해야 할 여행 214
- 강과 바다
물놀이 사고 221 | 쥐 224 | 계곡 급류 227 | 이안류 230 |
해파리 232 | 바다낚시 235
- 산과 들
뙤약볕 239 | 뱀 242 | 벌떼 245 | 스키장 248 | 산길 조난 251 |
산불 255 | 낙뢰 258
- 이동
폭설 263 | 낙석 267 | 소형 선박 침몰 269 | 대형 선박 침몰 271 |
비행기 추락 274
안전한 크루즈 여행을 위한 기본 안내 278
- 국외 여행
예방접종 283 | 여행자 보험 286
낯선 땅에서 아플 때 290
도심 축제 294 | 현지 경찰 연행 298 | 성폭력 303 |
대한민국 대사관 306 | 아이 309
돌발 사태와 재난 312
4. 영화 속 재난?
영화 같은 재난은 현실이다 318
- 자연재해
지진 325 | 쓰나미 328 | 백두산 화산 폭발 332 | 태풍 336 |
전염병 340 | 신종 전염병 343 | 산사태 346 | 극한호우 348
팬데믹 352
- 전쟁과 테러
화생방 361 | 총격전 365 | 인질극 369 | 비행기 납치 372 |
북한 포격 376 | 방사능 비 379 | 칼부림 난동 382
- 화재
고층 건물 387 | 주방 390 | 차량 393 | 찜질방 397 | 전기 자동차 400
5. 재난과 정치
여우와 두루미의 세상 406
1인 시위 410 | 초보자를 위한 집회 참석 가이드 414 |
소규모 집회 조직하는 법 418
이민 가기 쉬운 나라 10 422
망명하기 쉬운 나라 7 428
6. 안전한 사회를 위한 청원
재난을 대비하는 외침을 듣자 432
민원을 넣자, 소통을 하자 438
여행자 보험 보장 범위 445 | 학교 지진 안전 대책 447 |
민간 건물 내진력 강화 방안 449 | 소방 인력 확충 및 대우 452 |
한국은 여성이 살기 안전한가 455 | 건축법 458 |
세월호_위기 대책 소관 부서 460 | 핵공격 대응 매뉴얼 463
부록
재난 시 필수 연락처 467 | 안전 체험관 468 | 재난 대응 핵샘 체크 47 |
재난 대비 물품 478 | 응급처치 세 가지 482
참고자료 484
역자 소개
trans-top">
Warning: Undefined array key "ucont" in /var/www/html/skin/apms/item/shop/itemuse.skin.php on line 4
Warning: Undefined array key "qcont" in /var/www/html/skin/apms/item/shop/itemqa.skin.php on line 4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7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3개월 이내, 혹은 그 사실을 알게 된 이후 30일 이내 반품 신청 가능
반품사유 | 반품 배송비 부담자 |
---|---|
단순변심 |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
진행 상태 | 결제완료 | 상품준비중 |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
---|---|---|---|
어떤 상태 | 주문 내역 확인 전 | 상품 발송 준비 중 |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
환불 | 즉시환불 |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결제수단 | 환불시점 | 환불방법 |
---|---|---|
신용카드 |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 신용카드 승인취소 |
계좌이체 |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
계좌입금 |
휴대폰 결제 |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
포인트 |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 환불 포인트 적립 |
-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7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주문/제작 상품의 경우, 상품의 제작이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취소가 불가합니다.
- 구성품을 분실하였거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고장/오염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
- 제조사의 사정 (신모델 출시 등) 및 부품 가격변동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반품 및 가격보상은 불가합니다.
- 뷰티 상품 이용 시 트러블(알러지, 붉은 반점, 가려움, 따가움)이 발생하는 경우 진료 확인서 및 소견서 등을 증빙하면 환불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 제반 비용은 고객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 각 상품별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취소/반품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상품군 | 취소/반품 불가사유 |
---|---|
의류/잡화/수입명품 | 상품의 택(TAG) 제거/라벨 및 상품 훼손으로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된 경우 |
계절상품/식품/화장품 | 고객님의 사용, 시간경과, 일부 소비에 의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가전/설치상품 | 전자제품 특성 상, 정품 스티커가 제거되었거나 설치 또는 사용 이후에 단순변심인 경우, 액정화면이 부착된 상품의 전원을 켠 경우 (상품불량으로 인한 교환/반품은 AS센터의 불량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
자동차용품 | 상품을 개봉하여 장착한 이후 단순변심의 경우 |
CD/DVD/GAME/BOOK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의 포장 등을 훼손한 경우 |
상품의 시리얼 넘버 유출로 내장된 소프트웨어의 가치가 감소한 경우 | |
노트북, 테스크탑 PC 등 | 홀로그램 등을 분리, 분실, 훼손하여 상품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재판매가 불가할 경우 |